대한민국 100대 민족문화상징인 <솟대>.
100대 민족문화상징은 2006년 7월 26일에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(선정 당시에는 대한민국 문화관광부)가 ‘한민족이 과거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공간적·시간적 동질성을 바탕으로 형성한 문화 중에서 대표성을 갖는다.’는 판단하에 선정된 100가지 상징이다. 이 중 솟대는 오일장, 잠녀(해녀), 한복, 김치, 한옥, 장승 등과 함께‘사회 및 생활상징 분야’에 속해있다.
하지만 의아하게 솟대는 다른 상징과는 달리 우리 생활과 친근하다는 느낌이 약하다. 이에 (사)한국솟대문화연구원이 솟대를 널리 알리기 위해 발벗고 나섰다.
(사)한국솟대문화연구원이 강릉시, 성신여자대학교와 함께 ‘솟대다리’가 있는 강릉시 강문해변에서 <제1회 강문 진또배기 축제>를 개최한 것.
‘진또배기 희망을 품다'라는 타이틀 아래 지난 8월 3일부터 5일까지 강문해변에서 기념공연, 전통놀이 체험행사 등을 실시했다. 축제뿐만 아니라 시민들이 솟대 작품을 감상할 수 있도록 강릉시평생학습관에서 솟대 전시회도 열었다.
(사)한국솟대문화연구원이 <제1회 강문 진또배기 축제>를 개최한 데는 깊은 뜻이 있다. 진또배기 축제를 <향토문화제>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다.
가수 이찬원의 노래로 널리 알려진 <진또배기>는 솟대와 계통적 유사성을 지니면서, ‘진대를 박아 놓은 곳’이라는 합성어이며 강원도 방언이다. 진또배기라는 명칭을 고수한 유일한 마을이 바로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강문동이다.
그리고 <향토문화제>는 마을 축제의 성격을 갖는 민중의 예술과 문화를 오늘에 되살려 이어나가기 위한 행사이며, 아울러 마을의 단결과 협동을 다지기 위한 각 지방의 잔치이다.
진또배기와 향토문화제. 이 두 콘텐츠를 엮어서 우리나라의 공동체 정신을 우리나라를 넘어 전세계에 알리고 싶은 게 (사)한국솟대문화연구원의 프로젝트 중 하나이다.
한국솟대문화연구원은 우리나라 솟대문화의 의미를 재해석하고 가치를 재조명하고자 지난해 4월 설립된 비영리 사단법인이다
내 modoo! 홈페이지, 더 많이 방문하도록 홍보하고 싶다면?
네이버 검색창에 "사단법인한국솟대문화연구원@"으로 검색하도록 안내하세요.
"홈페이지명"에 "@"을 붙여 검색하면
네이버 검색에서 modoo! 홈페이지를 더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.
기호 @은 영어 "at(~에)"를 뜻하며, 홈페이지 주소 modoo.at에서 at을 의미합니다.
로 무료 제작된 홈페이지입니다. 누구나 쉽게 무료로 만들고, 네이버 검색도 클릭 한 번에 노출! https://www.modoo.at에서 지금 바로 시작하세요. ⓒ NAVER Corp.